티스토리 뷰
목차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가 최적화가 되면 이제 가비아에 연결해 보겠습니다. 그 전에 블로그가 최적화 되었는지 먼저 확인해 보세요.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 가비아 연결하기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가 최적화 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순서대로 먼저 설명하고 사진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1. 가비아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고 'My가비아'를 선택합니다.
2. 오른쪽 중간쯤 'DNS 관리툴'을 선택합니다.
3. DNS설정에서 앞 칸에 체크를 합니다.
4. 상단의 파란색 버튼 'DNS 설정'을 선택합니다.
5. 처음으로 하위 블로그를 연결할 경우엔 레코드 개수가 2개 있을 거예요. 아래 레코드 추가 버튼을 선택합니다.
6. 타입에서 A 옆의 아래화살표를 클릭해서 CNAME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호스트를 정합니다. 영문이나 숫자로 적는데, 이 호스트는 나의 원래 가비아 주소 앞에 오는 것이니 숫자 보다는 영문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가비아에서 만든 도메인 주소가 gildong.com 이라고 한다면, 호스트가 도메인 주소 앞에 오게 됩니다. 내가 호스트를 111로 정했다고 가정하면 나의 하위 블로그 주소가 111.gildong.com 이 되는 거예요. 물론 숫자도 괜찮다고 생각하면 숫자로 넣으셔도 됩니다.
7. 호스트 옆의 값/위치는 바로 위의 'host.tistory.io.'을 복사해서 붙여넣습니다. io 다음에 반드시 점(.)을 찍어야 합니다.
8. TTL은 1800으로 오른쪽 확인 누르고, 아래의 저장을 선택하고 '세팅이 완료 되었습니다.'라는 팝업창이 뜨면 확인을 누르세요. 이제 티스토리로 가볼게요.
※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 만드는 방법이 궁금하시면 참고하세요.
티스토리에서 가비아 연결하기
이제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에서 가비아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1. 티스토리 로그인을 한 후, 하위 블로그의 설정으로 들어옵니다.
2. 화면을 아래로 내려서 왼쪽 하단의 '블로그'를 선택합니다.
3. 화면을 조금 아래로 내리고 도메인 연결하기를 선택하면 되는데, 그 전에 팁을 드리자면 주소 설정에서 포스트 주소를 숫자 대신 문자로 바꾸고 변경사항 저장을 하면, 블로그 주소 끝에 내 블로그 글의 제목이 붙으므로 보기가 좋습니다. 문자로 바꾸는 것을 추천해 드려요.
4. 개인 도메인 설정에서 가비아에서 만든 호스트를 넣고, 가비아에서 만든 원래 블로그 주소를 넣습니다. 예를 들어 가비아에서 호스트를 yi로 만들고 내가 만든 가비아 주소가 gildong.com이라면, yi.gildong.com을 적고 아래 변경사항 저장을 선택합니다.
5. 그러면 이렇게 확인완료가 뜰 거예요. 이제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와 가비아가 연결 되었습니다. 티스토리 하위 블로그에 가비아를 입혔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